Home [CISCO 네트워킹] 7. 라우터만 알면 네트워크 도사? (2)
Post
Cancel

[CISCO 네트워킹] 7. 라우터만 알면 네트워크 도사? (2)

7. 라우터만 알면 네트워크 도사? (2)

라우터 셋업 모드

  • Set up 방식

라우터에 명령을 입력하는 두 번째 방법

  • Configuration 모드
  • configure terminal
    • 라우터의 구성을 콘솔이나 텔넷을 이용해서 할 때 사용하는 모드
  • 라우터의 구성 변경을 위해서는 항상 privileged 모드에서 구성 모드로 들어가야하는데, privileged 모드에서 구성 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명령은 configure 이다.
  • 또 구성을 텔넷이나 콘솔로 하는 경우에는 teminal 이라는 옵션을 사용해서 configure terminal 을 사용한다.
  • 모든 변경을 마치고 빠져 나올 때는 ctrl + z , RAM의 구성 파일을 NVRAM으로 저장할 때는 write memory or copy runningconfig startup-config 명령 입력

Static 라우팅을 이용한 Router 구성

  • Static 라우팅
    • 경로를 직접 넣어주기 때문에 라우팅이 빠르게 가능
    • 라우팅 테이블도 적게 사용함
    •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길을 찾아내지 못하고, 수정해줄 때까지 기다림
    • → 갈 수 있는 경로가 하나밖에 없는 Stub 라우터 용으로 많이 사용됨
      • Stub 네트워크 : 오직 하나의 경로만을 통해서 외부 망과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

스태틱 라우팅만 알면 디폴트 라우트는 식은 죽 먹기

  • Default 라우팅
    • 경로를 찾아내지 못한 모든 네트워크들은 모두 이곳으로 가라고 미리 정해 놓은 길
    • 디폴트 라우트를 잡아놓으면 다른 경로에서 해당 네트워크를 못 찾을 때는 무조건 인터넷 쪽 인터페이스로 가보게 되는 것
  • Default 라우트 만드는 법
    1. 디폴트 네트워크를 이용
    2. 스태틱 명령을 이용

image

<img width=”837” alt=”image” src=”https://user-images.githubusercontent.com/37402136/214020188-a24bc595-d336-4git commit –amend –author=”korband korband78@gmail.com“ecf-9e9f-b1cdfaea3870.png”>

  • 라우터는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 / 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로 나뉘었음
  • 또 하나의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한 분류가 distance vetorlink state 이다

Distance vector

  • 거리벡터만을 위주로 만들어진 라우팅 프로토콜
  • 한 라우터가 모든 라우팅 정보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라우팅 테이블을 줄일 수 있어서 메모리를 절약하고, 구성 자체가 간단하여 여러 곳에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음
  • 정해진 시간마다 한 번씩 꼭 라우팅 테이블의 업데이트가 일어나기 때문에 트래픽을 낭비하고 Convergence Time이 너무 느림
  • → 커다란 네트워크에서는 적용하지 않고 규모가 작은 네트워크에 적용할 경우 장점을 살릴 수 있음
  • RIP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, IGRP(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)
  • 한 라우터가 목적지까지의 모든 경로 정보를 다 알고 있음
  • 링크에 대한 정보(어디에 어떤 네트워크가 있고, 거기까지 가려면 어떤 라우터를 통해야 한다는 정보) 를 토폴러지 데이터베이스로 만들게 됨
  • 토폴러지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SPF(Shortest Path First) 라는 알고리즘을 계산 후 SPF 트리를 만듬
  • 한 라우터에서 목적지까지의 모든 경로를 알고 있기 때문에 중간에 링크의 변화가 생겨도 이를 알아내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음.
  • 라우팅 테이블 교환이 자주 발생하지 않고 트래픽 발생을 줄여줌
  • 라우팅 정보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 많이 소모, CPU가 일을 많이 함
  • 고용량 라우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
  • OSPF(Open Shortest Path First)

Telnet 을 이용한 장비 접속

  • Telnet
    • 기본적으로 TCP/IP 위에 올라가는 프로그램

Ping 과 Trace

  • 트레이스는 라우터를 구성한 후 네트워크의 연결에 이상이 없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만든 프로그램
    • 즉,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연결에 이상이 없는지, 그리고 이상이 있다면 어디에서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핑과 트레이스를 이용해서 찾아낼 수 있음

Ping

  • 단순 핑의 경우 에코 패킷의 출발지를 정할 수 없기 때문에 PC에 가서 직접 핑을 해보지 않는 이상 확인해볼 수 있는 방법이 없음.
  • 확장형 핑
    • 에코 패킷의 출발지를 지정
    • 에코 패킷의 크기
    • 핑을 몇 번 보낼 것인가

Trace

  • 출발지에서 목적지 뿐만 아니라 중간에 거친 경로에 대한 정보와 소요 시간까지도 확인해볼 수 있는 것이 Trace 명령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