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. 라우터만 알면 네트워크 도사? (1)
라우터란?
- 지능을 가진 
경로 배정기 - 라우터는 자신이 가야 할 길을 자동으로 찾아서 갈 수 있는 능력이 있음
 - 라우터의 기능 (
가장 좋은 길을 찾는 것) 을 위해서 PC 처럼 CPU, Memory, Interface 등을 가지고 있음 
라우터가 하는 일
Path Determination
-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길을 검사하고 
어떤 길로 가는 것이 가장 적절한지를 결정함 
Switching
Path determination을 통해 경로가 결정되면 그 쪽으로 데이터 패킷을스위칭해줌
Routing Protocol & Routed Protocol
Routing Protocol
- 라우터가 
자동차라고 치면, 그 자동차를 안전하고 빠르게 운전하는운전기사라고 볼 수 있음 라우팅 알고리즘이라고도 함- ex. RIP, IGRP, OSPF, EIGRP 등이 있음
 
Routed Protocol
- TCP/IP, IPC, AppltTalk 등 우리가 아는 모든 프로토콜은 전부 
라우티드 프로토콜이다. - 라우터가 라우팅을 해주는 고객을 의미함. 즉, 
말 그대로 라우팅을 당하는 주체- 라우터라는 자동차에 타는 승객!
 
 
즉, 라우터 입장에서는 어떤 라우팅 프로토콜을 채용하는가에 따라서 라우터의 성능이 결정됨. 물론 라우터 자체의 성능 또한 중요함
Static Routing Protocol
- 라우터에 사람이 
일일이 경로를 입력해줘야 함 Pros- 시키는 대로 하기 떄문에 라우터 자체에 부담이 들지 않아 
속도도 빠르고 성능이 좋아짐 - 다이나믹 라우팅 방식처럼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할 필요가 없음. 따라서 
네트워크 대역폭을 그만큼 절약할 수 있음 - 보안에 강함
 
- 시키는 대로 하기 떄문에 라우터 자체에 부담이 들지 않아 
 Cons- 사람이 일일이 경로를 넣어줘야하는 것이 
귀찮음 - 입력해준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경로를 다시 고쳐주기 전까지 문제가 있는 쪽으로 데이터를 보내려고 함
 
- 사람이 일일이 경로를 넣어줘야하는 것이 
 
Dynamic Routing Protocol
- 상황에 따라서 그떄 그떄 변화가 가능한 프로토콜
 Pros- 여러 상황에 자동으로 대응이 가능함
 
Cons- 라우타가 할 일(Path 계산, 정보 갱신 확인)이 많기 때문에 라우터에 
부담을 줌 
- 라우타가 할 일(Path 계산, 정보 갱신 확인)이 많기 때문에 라우터에 
 
→ 라우팅 성능을 높이기 위해 스태틱을 사용하기도 하고, 라우터가 선택할 수 있는 경로가 오직 하나뿐일 때는 다이나믹 프로토콜을 쓸 필요가 없음
Routing Table
- 라우팅 프로토콜이 있으면서 어떤 길이 가장 좋은 길인지 메모해 두는 일종의 
이정표같은 것 - 라우팅 알고리즘은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면서 자기가 찾아갈 경로에 대해 정보를 이곳에 
기억해둔다. 

- 라우팅 테이블은 라우터의 
RAM에 저장됨전원이 껐다 켜지면 날라감- 하지만, 라우팅 테이블은 그때 그때 변화하는 다이나믹한 정보이고, 라우팅 테이블을 다 지운 상태에서도 라우터가 이 테이블을 다시 만드는 데는 몇 초 정도 밖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저장하지 않아도 됨
 - Q) 그러면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은?
 
 
AS, 그리고 내부용과 외부용 라우팅 프로토콜
Autonomous System (AS)
Autonomous System-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서 관리되는 라우터들의 집단. 즉, 한 회사나 기업 또는 단체의 
라우터 집단을 의미 - AS 라는 그룹으로 묶어주는 이유는 라우터가 가지는 정보를 
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좀 더 간편하게 제공하기 위함 - AS 밖으로 나갈 때는 그 AS에 있는 
문지기 라우터(ASBR: Autonomous System Boundary Router) 에게 정보를 물어봐서 밖으로 (인터넷) 나감- 즉, 이런 시스템 때문에 라우터들은 인터넷에 접속하더라도 전 세계의 모든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다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고, 
단지 자신이 속한 AS에 대한 정보만 가지면 됨 
 - 즉, 이런 시스템 때문에 라우터들은 인터넷에 접속하더라도 전 세계의 모든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다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고, 
 

Interior Routing Protocol (IGP : Interior Gateway Protocol)
- AS 
내부에서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- RIP, IGRP, EIGRP, OSPF
 
Exterior Routing Protocol (EGP : Exterior Gateway Protocol)
- AS 
외부에서 서로 라우팅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- EGP, BGP
 
라우터 구성 방법
- 맨 처음 라우터를 구성할 떄 쓰는 
콘솔 케이블을 통한 구성 - 원격지에서 
모뎀을이용한 구성 - IP주소가 세팅된 후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하는 
텔넷을이용한 구성 -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 있는 곳에서 사용하는 
NMS를 이용한 구성 - 미리 구성된 파일을 저장했다가 나중에 라우터로 다운로드하는 
TFTP서버를 이용한 구성 
라우터의 모드
RXBOOT
- 라우터의 패스워드를 모르는 경우나 라우터의 이미지 파일에 문제가 생긴 경우 복구를 위해 사용함
 
Setup
- 라우터를 처음 구매해서 파워를 켰거나 라우터에 구성 파일이 없는 경우 라우터가 부팅하면서 자동으로 들어가는 모드
 
User
꺽쇠(>) 로 프롬프트가 나오면 유저모드임- 현재상태를 볼 수 있고, 테스트가 가능함
 - 하지만 라우터의 구성 파일을 본다거나 구성 자체 변경은 불가
 
Privileged
enable명령어로 들어갈 수 있음- 꺽쇠 (>) 가 아니고 
#으로 프롬프트가 나오면 프리빌리지드 모드임 - 명령의 제약이 없는 모드이다.
 
Configuration
- 라우터의 
구성파일을변경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모드 - 프리빌리지드 모드에 있어야 접근 가능함
 - enable 후 
config terminal명령어로 접근 가능 
라우터의 구성요소
내부

- RAM
- 파워가 켜진 다음에 
RAM 위로 운영체제가 올라옴- 시스코 라우터는 IOS 라는 운영체제를 사용함
 
 라우팅 테이블이 들어감구성 파일이 올라감- 이외에도 
ARP 캐시,패스트 스위칭에 대한 캐시등이 들어감 
 - 파워가 켜진 다음에 
 - NVRAM
RAM 백업을 위해 사용됨라우터의 구성파일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백업을 진행 함
 - Flash Memory
IOS 운영체제가 저장됨- NVRAM과 다른 점은 NVRAM에 비해서 용량이 큼
- NVRAM은 구성파일 저장용으로만 사용되지만, 플래시 메모리는 주로 IOS 이미지 파일 저장용으로 사용 됨
 
 IOS 는 전원이 켜지면서 라우터의 램으로 뛰어올라옴
 - ROM
- 파워가 켜지면 
어떤 순서로 라우터 스스로의 상태를 점검하고 또 어디서 운영체제를 가져다가 메모리에 올릴 것인지 등을 적어 둠 
 - 파워가 켜지면 
 
외부
